인증기준(12)
-
ISMS-P인증기준 (보호대책) 2.1.1 정책의 유지관리 (키워드 : 일관성)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MS-P) 인증기준의 두 번째 카테고리 2. 보호대책 요구사항(64개)의 첫 번째 2.1. 정책, 조직, 자산 관리 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항목상세내용주요 확인사항2.1.1정책의 유지관리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정책과 시행문서는 법령 및 규제, 상위 조직 및 관련 기관 정책과의 연계성, 조직의 대내외 환경변화 등에 따라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필요한 경우 제∙개정하고 그 내역을 이력관리하여야 한다.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정책 및 시행문서에 대한 정기적인 타당성 검토 절차를 수립∙이행하고 있는가?조직의 대내외 환경에 중대한 변화 발생 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정책 및 시행문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필요시 제∙개정하고 있는가?정보보호 및 개인정보..
2024.06.17 -
ISMS-P 인증 (관리체계) 1.4.1 법적 요구사항 준수 검토
1.4. 관리체계 점검 및 개선 분야의 경우 총 3가지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중 첫 번째 항목인 1.4.1 법적 요구사항 준수 검토 항목에 대하여 상세 내용과 핵심키워드 (굵게 + 밑줄 + 색상)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법적 요구사항 준수에 대한 부분이므로 중요하게 챙겨야 하는 부분은 정보보호공시 및 손해배상책임보험 가입에 대한 부분이 있습니다. ※ 관련법규「개인정보 보호법」 제29조(안전조치의무)「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 제4조(내부 관리계획의 수립·시행 및 점검)항목상세내용주요 확인사항1.4.1법적 요구사항 준수 검토조직이 준수하여야 할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적 요구사항을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규정에 반영하고, 준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조직이 준수하여야..
2024.06.09 -
ISMS-P (관리체계) 1.2.1 정보자산 식별
※ 분야 : 1.2 위험관리항목인증기준주요 확인사항1.2.1정보자산 식별조직의 업무특성에 따라 정보자산 분류기준을 수립하여 관리체계 범위 내 모든 정보자산을 식별∙분류하고, 중요도를 산정한 후 그 목록을 최신으로 관리하여야 한다.정보자산의 분류기준을 수립하고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범위 내의 모든 자산을 식별하여 목록으로 관리하고 있는가?식별된 정보자산에 대해 법적 요구사항 및 업무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중요도를 결정하고 보안등급을 부여하고 있는가? 정기적으로 정보자산 현황을 조사하여 정보자산목록을 최신으로 유지하고 있는가? ISMS/ISMS-P 심사 주안점 차이ISMS 심사 주안점 ISMS-P 심사 주안점정보자산 식별·분류의 기준 및 현황에 대해 확인정보자산 식별·분류의 기준 및 현..
2024.06.03 -
ISMS-P (관리체계) 1.1.6 자원 할당
정보보호관리체계(ISMS)와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ISMS-P) 인증을 준비함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해당이 되는 항목 중 관리체계를 구현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실질적인 예산과 자원을 할당하여 관리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1.1.6 자원할당 항목입니다. ※ 인증기준 최고경영자는 정보보호와 개인정보보호 분야별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확보하고, 관리체계의 효과적 구현과 지속적 운영을 위한 예산 및 자원을 할당하여야 한다. ※ 주요 확인사항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분야별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확보하고 있는가?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의 효과적 구현과 지속적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자원을 평가하여 필요한 예산과 인력을 지원하고 있는가?연도별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업무 세부추진 계획을 수립·시행하..
2024.06.03 -
ISMS-P 인증심사 - (관리체계) 1.1.3 조직 구성
※ 내용 중 강조표시(붉은색 + 굵게) 되어있는 문구는 주요 키워드입니다. 분야항목인증기준주요 확인사항1.1. 관리체계 기반 마련1.1.3조직구성최고경영자는 정보보호와 개인정보보호의 효과적 구현을 위한 실무조직, 조직 전반의 정보보호와 개인정보보호 관련 주요 사항을 검토 및 의결할 수 있는 위원회, 전사적 보호활동을 위한 부서별 정보보호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하여 운영하여야 한다.정보보호 최고책임자 및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업무를 지원하고 조직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활동을 체계적으로 이행하기 위하여 전문성을 갖춘 실무조직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는가?조직 전반에 걸친 중요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사항에 대하여 검토, 승인 및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
2024.05.30 -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MS-P) 인증기준 및 인증제도
최근 ISMS인증대상기업 기준 완화 및 간이심사제도 도입으로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 개선으로 다양한 뉴스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ISMS,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은 중소기업의 비용, 기간 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ISMS 간편인증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일정 수준 이하의 중소기업(매출액300억원 이하 등)에게 인증 점검항목을 경량화(80→40개 수준)하고, 수수료를 줄이는(평균 1,100→500만 원) 한편, 의무 대상 기준도 완화*할 예정이다. * 기존 정보통신서비스 부문 매출액 100억 원 이상의 기업에서 300억 원 이상으로 상향(법개정 예정) 또한 기존 이메일, 우편 등의 방식으로 ..
2024.05.25